본문 바로가기
넌픽션

외부 관점 : 참고 부류 확인!!

by 럽판타지 2023. 1. 24.
728x90
728x90
SMALL

 

우리가 들은 것은 기저율 정보였고, 우리는 거기서 인과관계 이야기를 추론해야 했다. 그렇게 많은 팀이 실패했다면, 그리고 그나마 성공한 팀도 아주 오래 걸렸다면, 교과과정 설계는 우리 예상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 분명했다. 그러나 그런 추론은 이제까지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는 우리 경험과 상충된다. 시모어가 알려준 통계는 결국 다른 기저율과 비슷한 취급을 받았다. 적어놓고 재빨리 제쳐두기.

(생각에 관한 생각 / 대니얼 카너먼 저 / 이창신 옮김 / 김영사 367쪽)

 

나는 여기서 세 가지를 배웠다. 하나는 매우 다른 두 가지 예측 방식을 구분하는 법을 그 즉시 우연히 알게 된 것인데, 아무스와 나는 훗날 이를 '내부관점inside view', '외부 관점outside view'이라 이름 붙였다. 두 번째는 교과서 집필에 약 2년이 걸릴 것이라는 애초 우리 예상은 '계획 오류planning fallacy'를 그대로 보여준다는 점이다. 우리 추정치는 현실적 평가라기보다 최상의 시나리오에 가까웠다. 뒤늦게 인정한 세 번째 교훈은 그날 그 작업을 포기하지 않았던 어리석음을, 그러니까 내가 '비합리적인 인내'라고 부른 어리석음이다. 선택의 기로에 선 우리는 모험은 포기하지 않고 합리성을 포기하고 말았다. 

(생각에 관한 생각 / 대니얼 카너먼 저 / 이창신 옮김 / 김영사 368쪽)

 

내부 관점에 끌리는 성향

우리는 당시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 우리 경험 안에서 증거를 찾으려 했다...잠깐의 경험만으로 앞날을 예측한 것은 실수였다. 우리는 눈앞의 정보를 근거로 예측하고 있었다. 보이는 것이 전부였던 것이다. 우리가 쓴 두 챕터는 아마도 다른 챕터보다 쉬웠을 것이고, 당시 우리 몰입도는 최고였을 것이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전 미국 국방장관 도널드 럼즈펠드Donald Rumsfeld가 했던 유명한 말 "모른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것"을 감안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생각에 관한 생각 / 대니얼 카너먼 저 / 이창신 옮김 / 김영사 369쪽)

 

심리학자에게는 시모어가 모순되는 두 가지 판단을 내렸다는 사실이 대단히 놀랍다. 그는 적절한 참고 부류의 통계를 추정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는데도 그 지식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채 추정치를 내놓았다. 내부 관점에서 나온 시모어의 예측은 기준치 예측을 이용한 조정을 거치지 않았다. 그는 기준치 예측을 생각지도 못했다. 그의 예측은 우리의 특수한 여건을 기반으로 했다. 톰 W 실험의 참가자들처럼 시모어도 관련 기저율을 알고 있었지만, 정작 그것을 적용해야 할 때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생각에 관한 생각 / 대니얼 카너먼 저 / 이창신 옮김 / 김영사 370쪽)

 

흔히 일어나는 일인데, 사람들은 개별 사례에 관한 정보가 있으면 그 사례가 속한 부류의 통계를 살필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무미건조한' 통계 정보가 해당 사례에 대한 개인적 느낌과 일치하지 않을 때, 그 통계는 일사적으로 무시된다. 외부관점은 내부 관점과의 경쟁에서 힘을 쓰지 못한다. 

(생각에 관한 생각 / 대니얼 카너먼 저 / 이창신 옮김 / 김영사 371쪽)

 

계획오류

아모스와 나는 '계획 오류'라는 말을 만들어, 다음과 같은 상황을 설명했다.

  • 비현실적으로 최상에 가까운 시나리오를 짤 때
  • 비슷한 사례의 통계를 참고했다면 더 나은 예측을 할 수 있었을 때

(생각에 관한 생각 / 대니얼 카너먼 저 / 이창신 옮김 / 김영사 372쪽)

 

계획 오류 줄이기

비슷한 사례에 나타나는 통계를 무시하는 흔한 성형이 어쩌면 미래 예측에 나타나는 오류의 주범일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분석자나 기획자는 외부 관점을 이용하려고 애써야 한다고 제안했다. 

벤트 플루비에르 Bent Flyvbjerg '참고 부류 예측reference class forecasting'

  1. 적절한 참고 부류(주방개조, 대규모 철도 프로젝트 등)를 찾아 낸다.
  2. 참고 부류의 통계를 입수한다(철도 1마일당 비용, 지출이 예산을 초과한 비율 등), 이르 통계를 이용해 기준치 예측을 내놓는다.
  3. 이 프로젝트에서 비슷한 다른 프로젝트보다 낙관 편향이 나오리라 예상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다면, 해당 사례에만 적용되는 특별한 정보를 이용해 기준치 예측을 주정한다.

(생각에 관한 생각 / 대니얼 카너먼 저 / 이창신 옮김 / 김영사 375쪽)

 

결정과 오류

...낙관 편향은 위험을 떠안는 중요한 원인이라는 내용이었다...사람들은 승산이 좋을 때 위험을 감수한다. 성공했을 때의 수익이 커야 실패로 비싼 대가를 치를 확률을 어느 정도 감수한다는 이야기다...사람들은 (항상은 아니지만) 흔히 자기가 맞닥뜨린 승산을 지나치게 낙관하는 탓에 위험한 프로젝트에 착수한다.

(생각에 관한 생각 / 대니얼 카너먼 저 / 이창신 옮김 / 김영사 376쪽)

 

검증 부재

그 자리에서 추궁받았더라면, 나는 우리 예측이 말도 안 되게 낙관적이었다고 말했을 것이다. 그리고 더 심하게 추궁을 받았더라면...하지만 누구도 나를 추궁하지 않았고, 토론도 없었다...우리가 모르는 사람들에 관한 몇가지 새로운 사실이 드러났을 뿐이었다. 외부 관점은 우리와 직접 관련이는 나쁜 소식보다 무시하기가 훨씬 더 쉬웠다. 당시 우리 상태를 가장 적절히 표현한다면 무기력일 것이다. 우리는 눈앞에서 벌어지는 일을 생각하지 않으려 했다.

 

외부 관점과 관련한 말들

"그는 내부 관점을 택했다. 이제 그만 자기 경우를 잊고 다른 사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알아봐야 한다."

"그는 계획 오류에 빠져, 최상의 시나리오를 짜고 있다. 그 계획이 실패할 가능성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데도 전혀 예상하지 못한다."

"당신은 이 법률 사건에서, 한 개인이 의사를 상대로 의료 과실을 주장한 사건이라는 점 외에 아는 게 없다 치자. 어떤 기준치 예측을 내리겠는가? 이런 사건이 승소하는 경우는 얼마나 되겠는가? 합의를 보는 경우는 얼마나 되겠는가? 합의를 본다면 합의금은 얼마겠는가? 지금 우리가 토론하는 이 사건은 비슷한 청구권 사건에 비해 승산이 높은가 낮은가?"

"우리는 실패를 인정하고 싶지 않아서 추가 투자를 하고 있다. 매몰 비용 오류의 사례다."

(생각에 관한 생각 / 대니얼 카너먼 저 / 이창신 옮김 / 김영사 378쪽)

 

 

728x90
728x90
LIST

'넌픽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르누이 오류  (0) 2023.01.30
자본주의의 동력 - 낙관주의, 실패 사전 점검  (0) 2023.01.24
전문가의 직관 : 언제 신뢰해야 할까?  (0) 2023.01.24
직관 대 공식  (0) 2023.01.23
타당성 착각  (0) 2023.01.23